알라딘

헤더배너
어문학계열
rss
이 분야에 103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1.

1998년에 출간된 <초기 국문.국문본소설>을 개정한 책이다. <묵재일기> 소재 5종 국문본소설의 발견 경위, 각 작품의 내용과 원문 주석.현대역, 의의 및 필사 연대를 비롯하여 그간의 관련 연구 성과를 한데 묶었다.

2.

국내 최초의 AI 지원 글쓰기를 이용한 학술서다. OpenAI의 GPT-3로 작성한 <용어 해설>은 인지 서사학(인지신경 문학 이론)의 핵심 개념을 쉽게 설명한다. 여기서 포스트휴먼 인문학(posthumanities)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

3.

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한 언어라는 점에서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문법적 특성을 가진다. 서술어를 이루는 용언 어간을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에는 활용 어미가 배열되고 왼쪽에는 문장 성분이 배열되는데 이 문장 성분들에 곡용의 조사가 결합한다.

4.

우리말의 곡진한 결, 방언으로 쓴 문예. '시의 행간에 둥지를 튼 방언', '문학 방언의 풍경', '방언고고학'으로 구성되었다.

5.

한국어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를 수록한 책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코퍼스 기반의 통계적 방법을 사용한다. 형용사의 의미를 그것이 특징적으로 수식하는 명사들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명사의 의미를 그것을 특징적으로 수식하는 형용사들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6.

한국어 억양의 기능 단서들에 대한 한국인 모어 화자와 초·중·고급 중국인 학습자의 지각 양상 및 산출 양상, 그리고 지각과 산출의 관계를 밝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억양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어 집필된 책이다.

7.

한글학을 15장으로 구성하고 분야별 특성과 내용을 규명한 책이다. 1장부터 3장까지는 한글학의 기본이 되는 개념과 특성, 내용구성 원리 등을 분석하였다. 4장과 5장, 6장에서는 한글의 기원인 훈민정음 창제 주체와 창제자의 문자에 담긴 철학과 한글 교육론을 분석하였다.

8.
9.

‘대한민국 단편소설의 완성자’로 평가받는 상허 이태준 선생이 월북작가라는 이유로 고향인 철원에서조차 홀대 받으며 문학관 하나 없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철원 출신 정춘근 시인이 지역 신문에 300회가 넘게 ‘상허 이태준의 삶과 문학’을 연재하고 있다.

10.
11.
12.
13.

정치·사회만큼이나 20세기의 문학이론도 다양하며 특색 있게 전개되었다. 캐나다의 비평가 노드롭 프라이의 작품의 근원을 탐색하고 뿌리를 찾아 파고 들어가는 원형비평 내지 신화비평과 더불어, 소쉬르의 언어학과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 그리고 바르트의 기호학에 근거한 구조주의 이론들이 등장하였다.

14.

흥미롭고 친근한 주제들로 각 단원을 구성하여 부담스럽지 않게 접근할 수 있다. 주요한 문법 내용별로 단원을 구성하여, 스스로 부족한 부분을 체크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각 단원을 브레인스토밍으로 시작하여 자신의 생각을 도출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15.

그룹활동-문법익히기-독해연습 및 표현익히기-토론과 말하기로 구성된 교재다. 단순히 지문을 보고 암기하는 방식이 아닌, 자신의 생각을 끌어내어 적고, 말하고, 응용해 볼 수 있게끔 되어 있어 입체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16.

국어 표기법의 역사를 정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근대 시기 이후 오늘날까지의 국어 표기 규정을 검토하고, 그 안에서 제시되었던 표기법의 변천 과정을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7.
18.
19.
20.
21.
22.
23.
24.

한국어문회가 8급에서 2급까지 선별하여 정한 424개 사자성어에 대하여 왜? 어떤 뜻이 되는지? 그 이유를 이해하기 쉽도록 속뜻을 일일이 풀이해 주고 있다. 한자어 속뜻 풀이가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한자 기초 지식이 없어도 알기 쉽도록 설명하고 있고, 영어도 병기되어 있다. 그래서 영어와 한자 공부를 한꺼번에 할 수 있다.

25.

조선시대에 진행된 한글의 교육과 학습 그리고 이를 통해 이루어진 한글의 확산 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제1장에서는 훈민정음 반포 후 이 문자의 교육이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정음 교육 관련 기사를 분석하여 그 양상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