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랑의 명랑 미스터리 '설자은 시리즈'가 돌아왔다. <시선으로부터,>의 예술가 가모장 심시선, <보건교사 안은영>의 피로하고 용감한 안은영에 이어 이번엔 당나라 유학파인 통일신라의 남장 탐정 설자은이다. 죽은 오빠의 신분을 대신 쓰는 설자은은 망국 백제 출신인 장인 목인곤을 식객으로 들여 금성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비상한 발상으로 해결한다. 시리즈의 첫 권 <설자은, 금성으로 돌아오다>의 뒷부분에서 비로소 왕을 만난 설자은은 2권에서 '집사부' 대사로 임명되어 왕의 직속으로 사건을 해결한다.
“지귀는 올 것이다. 얼룩져 부패해가는 금성을 처음으로 돌리기 위해, 훨훨 날아올 것이다!” (104쪽)
선덕여왕을 사모해 스스로를 태웠다는 '지귀'의 요설이 흥성흥성한 금성을 휩쓴다. 달이 차면 기우는 것은 고금의 진리. 넓은 영토와 풍족한 삶을 누리는 이 태평성대에도 몰락의 기미가 스친다. '웃고 있지만 성정이 찬' 목인곤과 달리 '웃지 않지만 차지 않은' 설자은은 스스로의 사려깊음에 걸려넘어지면서도 자기답게 사건을 해결해 나간다. 아이들과 연인이 불에 타고 죽임을 당해야 했던 이유, 하나하나의 귀한 삶에게 주어져야 마땅한 답을 찾기 위해 설자은은 불꽃을 쫓는다.
좋은 시리즈는 한동안의 삶을 또 기쁘게 한다. <듄: 파트 3>과 <위키드: 포 굿>을 기다리는 그 마음으로, 설자은 시리즈 3편 『설자은, 호랑이 등에 올라타다』를 기다려 본다. 다시 황금빛 금성으로, 정세랑의 초대장이 도착했다. - 소설 MD 김효선
“오늘 들어보니, 나리향은 세상이 사납게 굴어도 제가 택할 수 있는 일에는 싱그러운 사람이었더이다. 금성은 나리향 같은 이의 생기로 융성하고 있는 게 아닌가 해요. 여차하면 고이기 쉬운 죽음의 기운을 푸성귀로 쓱쓱 닦아내던 이였을 거예요. 오래 복을 누렸어야 했는데, 어떤 더러운 도랑에 누워 썩을 자가…… 그러니 나리향의 생을 기리기 위해 우리라도 제대로 갈무리해줘야지. 택한 상대와 묻어주는 일은 가벼운 일이 아니야. 중한 일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