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가을 치고는 따스하고 화창한 11월의 어느 일요일 이른 아침. 늦잠을 자는 남편을 위한 담배를 사기 위해 길을 나선 발레리아는 아주 우연한 충동으로 담배 가게 진열대에 가지런히 쌓여 있던 까만 공책 한 권을 샀다. 그는 공책에 일기를 쓰려고 마음먹었다. 일기장의 존재는 비밀이었다. 아들이 발견하면 대학 노트로 가져가 버릴 것이고, 딸의 눈에 띄면 일기장으로 쓰겠다고 제 방 서랍에 넣고 열쇠로 잠가버릴 것이다. 발레리아는 새삼 집 안에 비밀 일기장을 숨겨놓을 만한 자신만의 온전한 공간이 조금도 없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그리고 그 첫 발견을 시작으로, 아내이자 엄마 이상의 존재로 자신을 계속해서 재발견해 간다. 일기장 위를 빼곡하게 채워 나가는 글자처럼, 발레리아의 자아와 욕망도 서서히 형체를 갖추어간다. 이 책은 발레리아가 1950년 11월 26일부터 1951년 5월 27일까지, 반년 동인 기록한 일기 그 자체이다.
20세기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여성 작가 알바 데 세스페데스의 작품이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다. 반파시스트 활동으로 두 번 투옥된 바 있었던 세스페데스의 작품들은 파시스트 당국에 의해 금서로 지정된 바 있어 오랜 시간 잊혔으나, 엘레나 페란테가 에세이를 통해 “자신에게 용기를 주는 작품”이라고 언급한 이후 유럽과 영미권에서 다시 주목받기도 하였다. 본 작품은 1952년 쓰여졌지만, 70여 년 전에 쓰여졌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세련됐으며, 가부장제 아래 억압받던 한 여자가 자기 자신의 일상을 일기로 기록하기 시작하며 욕망의 주체로서의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이 이야기는 지극히 현재적이다. 세프세데스의 작품들이 이탈리아 문학계에서 ‘여성을 위한 글쓰기’에 불과하다고 높이 평가받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금지된 일기장>은 내용뿐만 아니라 작품을 둘러싼 현상까지도 여성들에 대한 억압을 고발하고 있는 듯하다. - 소설 MD 박동명
이렇게 늦은 시간에 글을 쓰고 있다는 사실은, 내가 결혼한 지 23년 만에 처음으로 나를 위해 시간을 쓰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