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만한 삶과 살 만하지 않은 삶

자세히보기 >
닫기
닫기

살 만한 삶과 살 만하지 않은 삶

주디스 버틀러.프레데리크 보름스 지음, 조현준 옮김 / 문학과지성사

"버틀러와 보름스 대담"

우리의 삶은 살 만한가. 살 만하지 않은데 살아가고 있는가. 살 만한 삶이란 무엇이며 살 만하지 않은 삶은 무엇인가. 이 주제들에 대해 정치윤리학자 주디스 버틀러와 프레데리크 보름스가 두 번의 대담을 한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살 만한 삶과 살 만하지 않은 삶을 가르는 기준에서부터 시작한 대화는 난민, 기후위기, 팬데믹 등 현재 시급한 현실의 문제들을 아우르며 나아간다.

두 학자의 입장엔 차이가 있다. 주디스 버틀러는 그간의 저작들에서 펼쳐온 주장의 연장선상에서, 상호 주체적 관점에서 사회적 인정과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가 살 만한 삶과 그렇지 않은 삶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라고 본다. 이와 달리 프레드리크 보름스는 죽음과의 대비를 통해 살 만한 삶의 객관적 조건을 주요하게 주시한다. 서로 다른 지점에서 시작한 두 사상가의 주장은 그러나, 인간의 상호 의존성을 인정하는 진정한 민주주의로 나아가야만 우리 모두가 살 만해진다는 같은 결론으로 나아간다. 어지러운 세계의 한복판에서 삶에 대한 입체적 사유를 제시하는 밀도 높은 대담. - 인문 MD 김경영

이 책의 한 문장

버틀러: 살 만한 삶과 살 만하지 않은 삶이 개념적으로 반대된다고 주장하고 싶다면, 현상학의 장에서 일어나는 이 둘의 동시성을 설명해야 합니다. 이 점을 장황하게 논의한 이유는 예컨대 바다에 버려진 이민자들, 또는 무기한 구금되어 있는 사람들, 또는 군사 분쟁으로 폭격당한 사람들에게 일어난 일을 서술하는 데 회복탄력성이라는 말을 점점 더 대중적으로 사용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이 언제나 예전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아닙니다. 이따금 창의적 저항을 하는 공동의 순간들이 있기는 하지만요(그런 순간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살 만한 삶과 살 만하지 않은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