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4일 : 70호

라인G1

이 책이 지금

너무 많은 찡그림을

관념으로서의 날씨와 실제 체험하는 날씨는 아무래도 차이가 있습니다. 저의 관념적인 눈부신 날씨의 이데아는 '한강 공원에 돗자리 펴놓고 누워서 와인 먹다 책보다 한숨 잠'인데요. 막상 실제로 해보면 바람 불어서 눈도 따갑고... 물결에 빛 반사되면 눈이 시리고... 체력 이슈로 다음 날 잔병치레도 하고... 그런 의미에서 <어느 누구의 모든 동생>, <무한한 밤 홀로 미러볼 켜네> 서윤후의 다섯번째 시집의 제목이 품은 대비의 이미지가 심정적으로 와닿습니다. 눈부신 나날은 참 좋지요. 하지만 그 눈부심을 향해 뛰어들려면 나쁜 일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수해야 하기도 합니다.

+ 더 보기

70쪽 : 책 속에는 슬픈 일이 일어날 때마다 공원과 해변과 숲을 찾아가는 네가 나오지. 나는 이미지를 통해 짐작하는 장소였는데 너눈 악몽이 물어다 놓은 난장 위를 기어서라도 가는 곳이었지. 나도 모르게 어느새 네 옆을 걷게 되는 주소이기도 했었는데
<견본 생활> 부분

작가는 지금 _3문 3답

Q : <악마대학교>의 악마들은 인간을 괴롭게 하는 것으로 점수를 얻어 지옥 대기업에 스카우트되기를 바랍니다. 악마가 되어도 경쟁을 해야 한다는 게 ‘웃프게’ 읽혔는데요. (사랑, 돈, 영생이 아닌) 이 경쟁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려울, 김동식 작가를 소소하게 괴롭게 한 작은 사건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A : 정말 소소한 대답을 해도 될는지 모르겠는데…… ‘소화력’입니다. 젊은 시절의 저는 멋있는 사람이었습니다. 치킨을 시키면 혼자서 한 마리를 다 먹었습니다. 짜장면은 무조건 곱빼기고,식당 메뉴판의 ‘특’이 기본값이었습니다. ‘메인 메뉴 + 미니 메뉴’ 세트를 보면 흥이 났습니다. 그랬던 제가 지금은 소름 돋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아침 점심 저녁 다 먹으려면 ‘특’ 말고 보통을 먹어야 하는 게 아닐지 고민하는 사람 말입니다. 부디 젊은 여러분은 위장에 물음표가 없을 때 많이 먹으시길. + 더 보기

라인y1

한국문학 MD는 지금 스마일

새로운 작가를 만나는 일은 즐겁습니다. 독립출판물로 먼저 알려져 정식출간 후 큰 울림을 전한 <경찰관속으로>의 원도가 첫 장편소설을 출간했습니다. 불키드 작가가 참여한 표지 이미지의 주인공들과 눈이 마주칩니다. 아무래도 실적으로는 내세울 게 없는 우당 파출소의 동기 송구, 해랑, 대복은 환상의 팀워크로 실적이 되지 않는 일만 주구장창 하며 사람들을 구합니다. 새 경찰서장이 부임한 후 통폐합의 위기에 처한 파출소를 구원해야 합니다.

1장 첫 타석은 데드볼, 2장 잘 쳐봐야 3할, 3장 평균 자책점, 4장 스토브 리그, 5장 우천 취소, 6장 삼진 아웃, 7장 퍼펙트게임, 에필로그 영구 결번으로 이어지는 목차가 재미있습니다. 야구 경기의 흐름으로 조직사회를 서술하는 활달한 이야기로 소설가 원도의 일면을 만나봅니다.

라인y1

출판사는 지금 : 핀드

요즘은 뭐든 두 번씩 말하는 습관을 갖게 되었습니다. 같이 가요 가요. 정말 좋아요 좋아요. 그래도 그래도 할래요. 왠지 두 번 연이어 말하면 진심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마 『내 마음을 쏟지요 쏟지요』 작업에 몰두해 있는 탓이겠지요. 제목에 서술어를 반복한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이건 시인 박소란과 핀드의 두 마음이기도 할 거예요. 그만큼 진심이고, 그만큼 간절합니다.

김명순의 에세이집 『사랑은 무한대이외다』를 묶으면서 이미 김명순 소설집 준비는 시작되었던 것 같습니다. 한 권만으로 끝내기엔 김명순이라는 작가의 내면이 너무 넓고 깊었습니다. 시, 소설, 에세이, 희곡의 세계가 서로를 넘나들며 확장되고 확고해지는 것을 보면서 김명순의 매력에 단단히 빠져들고 만 것입니다. 이 작업을 이어갈 사람은 단연 박소란 시인뿐이었습니다. 김명순의 문장을, 그 문장을 쓴 ‘명순 언니’의 마음을 박소란 시인만큼 세심하게 들여다본 사람도 없을 거예요. 왜 이 단어를 선택했는지, 이 자리에 구두점은 왜 넣었는지, 백 년 전의 시간으로 돌아가 김명순의 손끝이 되어 문장을 짚어나갔습니다. 그렇게 고심해 고르고 다듬은 14편의 작품이 『내 마음을 쏟지요 쏟지요』에 담겼습니다.

+ 더 보기

라인y2

나의 ㅇㅇ

제목의 구조가 비슷한 두 시집을 나란히 놓아봤습니다. 2021년 『매일신문』 신춘문예로 활동을 시작한 여한솔의 첫 시집, 2022년 『문화일보』 신춘문예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김보나의 첫 시집입니다. 활달하게 삐져나가는 제목이 첫 시집의 감각과 잘 어우러지는 듯합니다. 나는 보여주고 싶다 독서기록장에는 쓰지 못한 문장 혹은 어린 토끼에게 건초를 부어 주며 쏟아낸 마음 <나의 모험 만화> 부분 어떤 정원이나 인터넷을 길을 잃기 쉽지만 배롱나무 이파리처럼 내려앉는 사랑이란 단어는 셀 수 있어요 거기에 누군가 있습니다 나는 그냥 믿고 있는 것입니다 <나의 인터넷 친구> 부분 얼마 전 소라 네오 감독의 영화 <해피엔드>를 보았는데요, 대 "

라인G2
이번 편지 어떻게 보셨습니까?